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생물 기생충과 바이러스, 비세포성 감염체

by jyejye32 2022. 12. 17.
반응형

 

기생충의 정의와 분류

기생충(helminth)은 사람이나 가축에 기생하는 작은 동물로 소화기관, 신경계, 운동기관이 잘 발달되어 있지 않고 증식방법 및 생활사는 아주 복잡합니다. 고유 숙주는 기생충이 성체까지 이르며 유성생식이 가능하며, 중간숙주는 기생충이 일정 시기에 짧은 기간 동안 머무르는 숙주입니다. 자라는 단계의 개체를 유충이라고 하며, 성체는 암수딴몸(자웅 이체) 또는 암수한몸(자웅동체)입니다.

편평 동물 문(Platyhelminth)은 Trematodes강과 Cestodes강이 있는데, Trematodes강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디스토마(distoma)라고 불리는 흡충(fluke)이 있으며 질병은 간디스토마, 폐디스토마, 주혈흡충병을 유발합니다. Cestodes강의 대표적인 기생충은 장내에 기생하는 촌충(tapeworm)이 있습니다. 선형동물 문(Nematoda)에는 회충과 요충, 선충과 편충, 십이지장충 등이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형태와 크기, 증식과 생활사

바이러스는 단백질과 핵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스스로 물질대사를 수행할 수 없어서 대부분 숙주세포에 기생해서 증식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크기는 대략 10~300m로, 일반 현미경으로 관찰이 불가능 합니다. 외피에 쌓여 있는 바이러스를 리포 바이러스(lipovirus), 외피는 에테르와 클로로포름, 담즙 산염과 같은 지용성 물질에 감수성이 큽니다. 

바이러스는 살아 있는 숙주세포 내에서 핵산이 먼저 복제된 후에 캡시드를 비롯한 단백질이 합성되어 나중에 이들이 조립되어 방출되는 과정으로 증식합니다. 바이러스는 증식 과정은 숙주세포에 부착되면 침투해서 탈피 과정을 거쳐 핵산과 단백질 합성 후 입자조립, 방출합니다. 숙주에 대한 세포 변성 효과는 세포분열의 정지, 세포사멸, 세포 내에서 봉입체의 형성, 이웃 세포와 세포질 융합, 접촉 저지 현상의 소멸, 항원 변화, 인터페론 생산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리보솜이 없어서 rRNA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류가 불가능 하기 때문에 핵산의 형태, 나선의 형태, RNA 게놈의 형태, 외막의 존재 여부와 바이러스 입자와 캡시드 모양과 대칭성, 증식 방법 등으로 분류합니다. 볼티모어 분류법(Baltimore classification)은 바이러스의 mRNA합성을 기초로 하는데, 바이러스의 게놈이 단일가닥인지 또는 이중가닥인지, 역전사 수행 여부 등이 기준이 됩니다. 그 기준으로 전체 바이러스는 크게 7개의 집단으로 나뉩니다. 

 

바이러스 이외의 비세포성 감염체

비 로이드(viroid)는 오직 식물의 병원체로 작용하며 감자 길쭉 병(potato spindle tuber)처럼 감귤, 아보카도, 코코넛 등에 이상 반응이 일어나는 것으로 300~400 뉴클레오타이드 길이의 원형 단일가닥 RNA조각으로 회전한 복제 방법으로 RNA 중합효소에 의해 자신을 복제합니다.  비루소이드(virusoid)는 원형의 단일가닥 RNA조각으로 숙주에 감염하기 위해서는 도움 바이러스가 필요한데 인간 D형 간염 비루소이드가 대표적입니다. 이는 B형 간염 바이러스를 도움 바이러스로 사용합니다. 

프리온(Prion)은 감염성 단백질입자로 핵산 없이 단백질로만 이루어져 있지만, 숙주 내에서 증식하는 것처럼 보여 인간의 경우는 20번 염색체에 그 유전자가 위치합니다. 정상 프리온 단백질과 스크래피를 유발하는 프리온 단백질은 아미노산 서열은 동일하지만 3차 구조가 다릅니다. 퇴행성 중추신경 질환의 발 병기 전은 프리온이 중요한 원인으로, 광우병(소해 면체 뇌질환)과 쿠루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등을 유발합니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드문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뇌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데, 점차적으로 뇌세포를 파괴하고 구멍이 생겨 신체 움직임과 언어 변화 등을 제어함에 어려움이 있는 질병이며, 주로 60대 이상 고 연령층에서 발생하는데 현재까지 완벽한 치료법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빠르게 진행되어 일반적으로 증상이 나타난 후 1년 이내에 사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