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란 무엇인가
바이러스는 숙주에 감염할 수 있는 크기가 작은 입자로 생명체와 무 생명체의 중간 형태를 가집니다. 일반적으로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한 작은 입자지만, 최근에는 빙하 바이러스는 예외적으로 크기가 큰 편입니다. 생명체로써는 유전물질 보유하고 변이, 자손 생성, 자기 조립 등의 특징을 가지며 무 생명체로써의 특징은 숙주 필요성과 자신의 완전한 대사능력을 보유하지 않고 세포로서의 기본 구조를 보유하지 않는 것입니다.
바이러스는 핵산이 단백질에 둘러싸인 구조로 DNA 또는 RNA로, 각각 이중 또는 단일가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단백질에 따른 여러 바이러스 모양이 다양합니다. 정이십면체 모양이 가장 보편적으로 구형으로 보기도 합니다. 그 외에 나선형, 복합형, 벽돌형 또는 계란형 등이 있습니다. 곤봉형 혹은 총알형 등이 있는데, 이 바이러스는 광견병 바이러스에서 보이는 모양입니다.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부착해 세포 내로 유입된 후 캡시드가 분해되거나 유전물질만을 세포 내로 주입하는 과정을 거쳐 DAN바이러스는 숙주세포의 핵 내에서, RAN바이러스는 숙주세포의 세포질에서 진행되는데 어떤 유전체를 가지고 있든 모든 바이러스는 반드시 mRNA를 합성합니다. 그리고 단백질 입자들로부터 캡시드의 원형이 만들어져 핵산이 이입되는 조립의 과정을 거쳐, 단백질 등이 분화하여 완전한 바이러스 입자로서의 모양과 기능을 갖는 과정인 성숙단계를 거쳐, 방출됩니다.
DNA 바이러스에 대해서
아데노바이러스과(Adenovirusdae)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 눈, 위장, 방광 등에 질병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군대 등의 집단생활을 하는 곳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급성호흡기질환, 어린이들이 자주 걸리며, B군의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싱기는 비인두결막염이나 중증으로 나타나는 높은 전염성을 지닌 유행성 각결막염, 설사와 열을 동반하는 설사증인 위장관 질환을 유발합니다.
헤르페스바이러스과(Herpesviridae)는 외피가 있는 DNA 바이러스로 사람과 동물에 감염되어 질병을 유발하는 중요한 바이러스 중 하나입니다. 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는 가장 먼저 알려진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로 1형과 2형 두 가지가 있으며, 항원성과 병변의 위치에 따라 구별됩니다. 1형은 허리 윗부분에, 2형은 어리 아랫부분인 생식기에서 주로 발생하며, 주로 성 접촉으로 전파됩니다. 구순포진은 대개 입술 또는 비강 점막 부위에서 나타나는데 재발이 잦고, 각막결막염은 각막의 궤양, 결막 상피의 손상이 특징인데 재발되면 실명을 초래할 수 있어 위험합니다. 잠복해 있는 바이러스를 재활성화시키는 요인은 태양의 자외선, 스트레스, 열병, 월경, 면역억제 등 많은 것들이 있고, 재발성 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안면 헤르 세프, 재발성 생식기 헤르페스 및 각막염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영유아나 성인에게 무증상 또는 경미한 증상을 보이지만 면역결핍증 환자에게는 기회감염을 일으켜 큰 문제가 되는 사람 거대세포 바이러스와 만성질환, 백반증, 림프 증식성 질환 등의 엡스타인바 바이러스도 있습니다.
자궁경부암을 유발하는 파포바바이러스과(Papovaviridae)
파포 바바이러스과는 사람과 동물에 모두 감염시킬 수 있고, 폴리 오마 바이러스는 쥐의 귀밑샘에서 발생한 종양에서 분리된 바이러스인데 쥐에게 이 바이러스를 접종하면 귀밑샘뿐만 아니라 젖샘, 흉선, 콩팥, 피하, 혈관 등에 암종이나 육종을 만들기도 합니다. 원숭이 바이러스와 기타 동물 바이러스는 액포화 바이러스라고 부릅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는 라틴어 유두(papilla)와 그리스어 종양(-oma)의 합성어로, 임상적으로는 사마귀를 일으키는 저위험군과 악성 종양인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고위험군 등으로 분류됩니다. 사마귀는 소아나 사춘기 초반에 손이나 발 같은 각질화된 부위에 발생하는 저위험군 인유두종바이러스에 의해 최초 감염된 것입니다. 항문이나 생식기 사마귀로 외부 생식기나 항문 주위에도 감염되어 콘딜로마가 생길 수 있습니다. 양성 두경부종양은 구강과 후두에서 저위험군 감염에 의해 구강 유두종과 후두유두종 등의 양성 상피 종양이 생깁니다.
자궁경부암의 발생은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으로 성관계를 통해 매개되며, 일부 고위험군 바이러스 경우에는 지속적인 감염 상태를 유지하여 자궁경부암을 유발합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만들어내는 단백질 E6, E7이 암 발생을 억제하는 데 중요한 인체의 종양 억제 유전자의 기능을 억제하면서 자궁경부암을 일으킵니다.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백신은 고위험군인 16, 18형으로 구성된 백신과 저위험군인 6,11형으로 구성된 백신이 있는데 이 백신들은 6개월 내에 3차례에 걸쳐 성 경험이 없는 여성을(17세 전후) 대상으로 접종합니다.
댓글